분류 전체보기 48

[Linux] 파일시스템 점검 및 관리 - dd

dd (Data Dumper)디스크를 이미지 형태로 백업하거나 파일의 포맷 즉, 형식을 바꾸는 명령으로 텍스트 파일의 대소문자변환과 부팅 디스크를 만들때도 쓰임스왑 파일을 만들거나 디바이스 초기화 시킬 때도 사용dd if=입력파일 [conv=conversion type] of=출력파일 [bs=] [count=] [skip=] 옵션옵션설명if=입력 파일을 지정 장치명이나 이미지 파일도 지정할 수 있음of=출력 파일을 지정 장치명이나 이미지 파일도 지정conv=변환하는 데이터 유형을 지정 예) lcase, ucasebs=출력되는 블록 사이즈를 지정 한 번에 변환하는 블록 사이즈를 지정하는 항목count=변환되는 블록의 수를 지정skip=입력 파일의 시작되는 블록 번호를 지정 보통 데이터를 나누어 이미지를 만..

Linux 2025.07.28

[Linux] 파일시스템 점검 및 관리 - fsck, e2fsck, xfs_repair

fsck (filesystem check)ext 계열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수리하는 명령RHEL 6 이전 버전에서 fsck 명령은 손상된 디렉터리나 파일을 수정할 때 임시로 /lost+found 디렉터리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복구를 진행RHEL 8에서 기본 적용되는 XFS 파일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fsck [option] [장치명] 옵션옵션설명-r명령 수행에 대한 확인 질문을 함 여러 개의 fsck가 병렬 모드 형태로 작동하고 있을 때 유용-A/etc/fstab 파일에 정의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검사-P-A 옵션을 사용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을 다른 파일 시스템과 병렬로 함께 체크-R-A 옵션을 사용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은 체크하지 않고 건너 뜀-N실행을 하지 않고 단지 어떤 것이 실행되..

Linux 2025.07.25

[Linux] Block Device 명령어 - blkid, lsblk

blkid블록 장치(Block Device)의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UUID, LABEL 등을 확인할 수 있음blkid [option] [device] 옵션옵션설명-L --label라벨(Label)명으로 블록 장치를 찾을 때 사용-U --uuidUUID명으로 블록 장치를 찾을 때 사용 사용 예/dev/sda1의 UUID 및 파일 시스템 정보를 출력blkid /dev/sda1UUID가 4a93d488-492b-4012-0391-13s948295cdc인 블록 장치를 찾아서 출력blkid -U 4a93d488-492b-4012-0391-13s948295cdc lsblk블록 장치(Block Device)의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UUID, LABEL 등을 확인할 수 있음lsblk [option] [장치명]..

Linux 2025.07.24

[Linux] 파일 시스템 관련 파일 - /etc/fstab, /etc/mtab

/etc/fstab파일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로 부팅 시에 마운트할 파티션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파티션 정보를 변경하였거나 디스크를 추가한 경우 이 파일에 등록해야만 부팅 시에 자동으로 마운트가 됨/etc/fstab 파일은 총 6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mount, umount, fsck 등의 명령어가 수행될 때도 이 파일 정보를 참조함fstab의 필드 구성이 파일의 정보는 ‘man 5 fstab’에서 확인할 수 있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필드설명첫 번째장치명이 기록되는 영역이었으나, 최근 배포판 리눅스에서는 볼륨 라벨(Volume Label)이나 UUID가 대신 사용되고 있음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인 경우에는 ‘호스트명:디렉터리’ 형식으로 표기한다 참고로 XFS 파일 시스템에..

Linux 2025.07.21

[Linux] 파일 시스템 생성(3) - mount

mount보조 기억 장치(HDD, FDD, CD-ROM 등)나 파일 시스템이 다른 디스크를 /(root 디렉터리)의 하위 디렉터리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특정 옵션 없이 mount 명령을 내리면 현재 마운트된 장치나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음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옵션옵션설명-a --all/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쓰이는 옵션-t fs_type --types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etc/fstab 파일을 참조 파일 시스템의 유형은 아래 내용 참고-o 항목 --options마운트할 때 추가적인 설정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다수의 조건을 적용할 때는 콤마(,)로 구분하면 됨 주요 항목은 ..

Linux 2025.07.18

[Linux] 파일 시스템 생성(2) - mkfs, mkfs.xfs

mkfs (make filesystem)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으로 root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음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설정은 ext2로 생성됨mkfs [-t fs_type] [option] 장치명 옵션옵션설명-t fs_type --type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 리눅스 파일 시스템인 ext3, ext4, xfs 등을 지정하면 됨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됨-V인자값 없이 사용하면 버전 정보를 출력(--version) 인자값과 함께 사용하면 상세 정보를 출력(--verbose) 사용 예/dev/sdc1을 xfs으로 파일 시스템을 만든다mkfs -t xfs /dev/sdc1/dev/sdb1을 ext4로 파일 시스템을 만듦mkfs -t ext4 /dev/sdb1..

Linux 2025.07.10

[Linux] 파일 시스템 생성(1) - fdisk

fdisk디스크 파티션을 확인하고 추가/삭제하는 명령으로 설정 후에는 재부팅을 해야 함최근 배포판 리눅스에서는 재부팅 없이 작업이 가능fdisk [option] [device]# device에는 장치 파일명을 기재한다 옵션옵션설명-l [device] --list지정한 장치 파일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출력 장치 파일명을 명기하지 않으면 /proc/partitions의 정보를 기반으로 장착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출력-s partition --getsz특정 파티션의 크기를 출력하는데, 512byte 크기의 섹터 수 임-v -V --versionfdisk의 버전을 출력 사용 예장착된 디스크들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출력fdisk -l/dev/sdb 디스크의 파티션을 설정fdisk /dev/sdb/d..

Linux 2025.07.05

[Linux] 파일링크 - ln

파일 링크 (Link)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하면 I-node (Index node)라는 번호가 임의로 부여되고, 이 번호를 기준으로 관리됨ls -i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파일명이 다르더라도 이 번호가 같다면 내부적으로는 같은 파일로 인식이렇게 하나의 파일을 여러 개의 이름으로 관리하거나 디렉터리의 접근 경로를 단축하는 형태를 링크 라고 부르고, ln 명령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음하드링크심볼릭 링크 (소프트링크)ln하드링크 또는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명령 실행시 옵션 없이 사용하면 하드링크-s(--symbolic) 옵션을 사용하면 심볼릭 링크ln [option] 원본 대상파일명 옵션옵션설명-s --symbolic심볼릭 링크를 생성시 사용하는 옵션-v --verbose링크 만드는 정..

Linux 2025.07.02

[Linux] chgrp (change group)

chgrp (change group)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 그룹을 바꾸는 명령. root 사용자가 아니면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특정 사용자가 여러 그룹에 속한 경우에 본인 소유의 파일을 본인이 속한 그룹 내에서 소유권을 변경시킬 수 있음chgrp [option] group file(s) 옵션옵션설명-R --recursive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디렉터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c --changes변경된 정보를 출력-f --silent, --quite중요한 오류 메시지가 아니면 출력하지 않음-v --verbose명령 진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출력-h --no-dereference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 일반적으로 심볼릭 링크 파일에 ..

Linux 2025.06.28

[Linux] chmod(change mode)

chmod (change mode)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접근할 수 있는 허가권(Permission)을 설정하는 명령어A. 문자 모드 (Symbolic mode) : 알파벳 기호 사용권한 / 사용자 / 설정 3가지로 나뉨여러 사용자 계층의 권한 설정은 콤마(,) 로 분리해서 지정 가능권한 (r, w, x)사용자 (u, g, o, a)u : 파일 소유자의 접근 권한g :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에 대한 접근 권한o :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접근 권한a : all의 약자로 파일 소유자, 그룹, 다른 모든 사용자를 포함하여 접근 권한설정 (+, -, =)+ : 설정- : 해제= : 특정 권한만 지정B. 숫자모드 (Numeric mode) : 8진수 값 사용숫자(4, 2, 1, 0)를 조합하여 8진수의 값을 만들어 권..

Linux 2025.06.26